on
환경직공무원 근무장소 및 승진
환경직공무원 근무장소 및 승진
환경직공무원은 국가직, 지방직으로 나뉘며
국가직은 환경부 또는 지방환경청에서 근무하며,
지방직은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일반 환경업무를 하며, 근무한다.
자치단체는 특별시 및 광역시와, 경기도, 충남, 경북, 전남 등 광역자치단체랑 기초자치단체로 나뉜다.
광역시의 경우, 시청 및 각 구청에서 근무를 하고,
광역자치단체는 도청에서 근무를한다.
지금 나처럼 기초지자체는 시·군·구에서 근무를 하게된다.
기초지자체도 큰 시의 경우 구청에서 근무할 수 도있고,
작은 시의 경우 시청에서 근무를 하게 된다.
기초지자체는 7·8·9급이 실무를 보며
6급은 팀장의 보직을 받으며, 보직이 없는 6급은 계장이라고 한다.
5급은 과장, 4급은 국장, 3급은 부시장이다.
2018. 10. 8. 시보로 발령
2020. 7. 10. 8급으로 승진,
약 1년 9개월만에 승진하였다.
승진하기 위해서는 승진소요최저연수를 채워야한다.
9급 : 1년 6개월 이상
7·8급 : 2년 이상
6급 : 3년 6개월 이상
5급 : 4년 이상
4급 : 3년 이상
3급 : 2년 이상
위처럼 승진소요최저연수를 채워야만 승진 명단에 들어갈 수 있고,
승진직렬을 검토하여 직렬별로 승진을 하게된다.
승진은 운이 어느정도 작용을 한다.
정기인사 시점에 내가 승진소요최저연수를 채웠느냐 못채웠느냐가 중요하다.
이제 8급으로 승진한지 1년이 지났다.
앞으로 1년 뒤면 2년을 채우고, 정기인사에 7급으로 승진할 가능성이 있다.
물론 승진은 인사팀에서 결정한다.
인사는 인사발령문이 날때까지 어떻게 될지 아무도 모른다.
LIST
from http://environment2021.tistory.com/14 by ccl(A) rewrite - 2021-08-22 15:2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