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증자 효과는 무조건 주가 하락신호?

유상증자 효과는 무조건 주가 하락신호?

반응형

당신이 주식투자를 하면서 유상증자나 무상증자에 대한 이야기를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내가 가진 종목이 유상증자를 한다고 혹은 무상증자를 한다고 공시했을 때 과연 이러한 이유가 주가에 어떠한 영향을 주게 될지 무척 궁금할 것이다.

오늘은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중에 유상증자에 대해서 알아보고 무상증자는 다음 시간에 알아보도록 하겠다.

증자란 무엇인가?

- 증자란 자본을 늘린다는 뜻이다. 즉, 자본이라고 하면 사업을 할 때 기본이 되는 돈을 말한다. 주식회사에서 자본을 늘리는 것을 "증자"라고 한다. 또한 주식의 총발행 주식 수가 늘어났기 때문에 "추가 상장"이라는 말도 쓰는데 모두 같은 말이다.

증자를 하는 이유?

- 현재의 사업자금보다 더 많은 사업자금이 필요할 때 증자를 한다.

- 회사는 돈이 필요할 때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3가지 정도로 나뉜다.

증자 채권 대출

2번 채권, 3번 대출의 경우 흔히 빚을 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당연히 빚이기 때문에 갚아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회사의 입장에서는 부담이 될 수가 있다.

하지만 1번 증자의 경우 갚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부담이 없고 또한 회사의 자본을 늘리는 수단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흔히 꿩 먹고 알 먹고 가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회사들이 증사의 방법으로 자본금을 늘리려고 하는 것이다.

유상증자란 무엇일까?

- 유상증자란 증자 앞에 "유상"이라는 말이 있다. 즉, 보상이 있다는 뜻이다. 말 그대로 새로 발행하는 주식을 돈을 받고 주식을 팔아 주식의 수를 늘린다는 뜻이다.

유상증자 효과는?

- 유상증자를 하게 되면 새로운 주식을 발행하기 때문에 주식의 수가 증가하게 된다. 하지만 기존 주주들의 지분율이 감소하게 된다.

예) 1000주 보유 회사에서 내가 10주를 가지고 있다면 나의 지분율은 1%가 된다. 하지만 회사에서 유상증자를 하여 2000주 보유 회사가 되면 나의 지분율은 0.5%가 된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의 주주들은 손해를 보는 샘이 된다.

유상증자 효과는 무조건 주가 하락신호?

- 주식시장에서 바라보는 유상증자의 경우 보통 회사의 경영이 어렵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렇기 때문에 유상증자를 진행한다는 공시가 뜨면 주가에 나쁜 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많다.

단, 회사의 재무구조가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된 상태에서 사업의 확대, 시설투자로 인해 향후 회사가 더욱 좋아질 것이라는 시그널을 주면 주식시장에서 호재로 인식해 주가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주식은 대응과 위험관리의 연속이다!

주식시장이라는 것이 살아서 움직이는 것이다. 유상증자로 좋은 호재성 기사가 떠도 주가는 떨어질 수 있다. 반대로 악재라고 생각했지만 반대로 주식은 "악재 해소"로 보고 오히려 상승하기도 한다.

앞에서 말한 것처럼 주가는 우리가 예상한 것과는 반대로 흘러가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호재성 기사나 공시가 떴는데 주가가 좀처럼 상승하지 못하고 하락하는데 호재성 기사나 공시만 믿고 맹목적인 믿을 가지고 있는 것은 좋지 못하다.

반대로 악재성 기사가 떴을 때 위험 관리를 위해서 주식을 정리했는데 주가가 상승하면 악재성 기사라고 해서 다시 떨어질 것이라는 믿음으로 상승을 그냥 바라보고 있고 마음만 졸이는 안타까운 상황이 올 수도 있다.

앞서 말했듯이 주식시장의 앞날은 아무도 모른다. 주식을 오래 한 사람들도 향후 주가가 어떻게 될지는 아무도 모른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이 맹목적으로 상승할 거라는 믿음으로 주식을 무대응으로 일관하면 주식시장에서 쓴맛을 보게 될지도 모른다.

주식시장에서의 슈퍼개미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모두 '위험관리'를 한다.

그런데 왜 당신들은 '위험관리'를 하지 않고 슈퍼개미가 되기를 원하는가?

테크래시란 무엇이고 발생 원인은?

테이퍼링 할 수 밖에 없는 이유

양적완화 효과는 정말 있는 것일까?

반응형

from http://naegaalgo.tistory.com/6 by ccl(A) rewrite - 2021-09-22 16: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