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20대부터 40대까지, 연령별 재무설계 목표설정 꿀팁
20대부터 40대까지, 연령별 재무설계 목표설정 꿀팁
공식적인 성인이 되는 나이는 20살. 20살이 되면 10대 때는 할 수 없었던 많은 것들을 할 수 있게되고 그와 동시에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과 걱정이 따르게 된다. 성인이 되기 전 우리는 대체로 평범하게 대학을 졸업하여 첫 직장을 갖고 돈을 모아 내집 마련을 하고 노후 준비를 하는 삶을 꿈꾼다. 하지만 이 과정 속에는 학자금 대출의 부채 처리, 저임금, 금융의 세계 등의 것들과의 문제를 직면하는 것은 포함되어있지 않았을 것이다. 나이가 젊으니 이런 문제들 쯤이야 충분히 뒤집을 수 있다고 생각하여 가볍게 무시할 수 있겠지만 현실은 매 10년이 우리의 미래 재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지금이라도 시간을 할애하여 우리의 돈 관리에 대해 공부하라. 아래에 20대부터 40대까지의 재무설계 목표설정을 위한 꿀팁들을 정리해 둔다.
20대의 재무설계
1) 예산 책정하는 방법 알아보기 : 부모님의 그늘 아래에서 용돈을 받아 쓰거나 때로는 아르바이트를 통해 자신의 용돈 벌이만을 했던 10대에서 이제는 직접 직장을 가지고 일을 하여 월급을 받아야 하는 20대로 올라왔다. 예산에 대한 계획을 세우는 것이 어렵다고 생각될 수 있지만 생각보다 복잡하거나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자신이 번 돈이 매달 어디로 빠져나가고 쓰이는지에 대한 정리를 해보자. 요즘은 재무설계나 예산측정에 관해 쉽고 빠르게 정리할 수 있는 앱과 온라인 프로그램들이 굉장히 다양하게 나와있다. 매달 가계부를 쓰는 느낌일 것이다. 혹 일일이 정리할 시간이 없거나 귀차니즘이 생긴다면 계정과 연결하여 자동으로 지출내역을 분류하여 정리하는 'Mint'와 같은 시스템들을 고려해 보자. 2) 빚을 갚아라 : 빚이 나쁜 것만은 아니다. 우리의 부채가 되기 전 우리는 그것들로 인해 대학등록금을 내어 학위를 취득할 수 있었던 이유가 되고 어쩌면 그 덕분에 전셋집을 얻었을 수도 있다. 다만 조심하지 않으면 인생을 빠르게 망칠 수도 있는 것이 빚이기에 최소한의 빚으로 최대의 행복만을 누릴 수 있기를 바란다. 불필요한 빚은 만들지 말아야 한다. 3) 비상 자금 만들어놓기 : 이번 코로나19와 같은 사태로 인해 많은 이들이 비상 자금에 대한 중요성을 깨달았을 것이다. 대유행으로 인한 재정적 침채는 비상 자금의 중요성을 전 세계에 일깨워 준 셈이다. 우리가 살아가는 긴 시간속에 언제 어떻게 어떤 일들이 일어나게 될지는 아무도 모른다. 하지만 비상자금이 있다면 그런 불확실한 시간을 헤쳐 나가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살면서 생길 수 있는 사고나 비극을 처리하기 위해 비상자금을 보유한다는 것은 어쩌면 새로운 기회를 가져다 주는 매개체가 될 수 있으니 계좌 및 현금을 통한 비상자금을 보유해 놓자. 4) 신용점수에 대한 이해 : 신용점수의 경우 인생의 많은 부분을 좌우할 수 있을 정도로 아주 중요하다. 대출을 많이 빌리거나 빚이 있거나 하면 신용점수는 떨어지게 된다. 신용점수를 높이는 방법과 신용점수를 떨어뜨리는 요인들에 대해 미리 숙지해 놓는것이 좋다.
30대 재무설계
1) 은퇴를 위한 투자하기 : 찬란한 20대를 지나와 이제 30대의 나이에 접어든 당신이 은퇴를 생각하기에 좀 이른감이 없지않아 있지만 20대에는 재정적 삶의 토대를 구축하는데 보냈다면 이제는 저축과 은퇴를 위한 투자와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는 큰 그림을 그려야 한다. 실제로 대부분의 재무설계사들은 고객들에게 은퇴를 위해서 연간 소득의 10~15%의 저축을 권하고 있다. 이 숫자가 작아 보일 수 도 있지만 매달 급여의 1~3%만 저축한다 해도 연간 소득의 12~36%를 저축하는 셈이 된다. 그렇게 한 해 두 해를 지나다 보면 당신의 투자금은 큰 금액으로 늘어나 있을것을 약속한다. 단, 투자에 대한 공부는 절대 게을리 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명심하자. 2) 내집 마련하기 : 모든 사회인들의 첫번째 꿈은 내집마련이다. 하지만 부동산 경제가 치열한 현 사회에서는 전셋집 조차 얻기 힘든것이 사실이다. 지금 우리가 내집 마련을 위해 할 수 있는 것은 우리의 신용 점수를 높이고 고금리 부채의 빚을 상환하는데에 힘써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주택 청약을 넣어 내집 마련의 기회를 엿보자. 3) 필수적으로 들어야 하는 보험에 가입하자 : 저축만 한다고 해서 비상 자금이 넉넉한 것은 아니다. 우리는 인간이기에 언제 병이들어 아프게 될지 아무도 모르고 내 차가 언제까지고 사고 한 번 없이 잘 있어 줄지 그 누구도 모른다. 자신뿐만 안라 자신을 아껴주고 사랑해주는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해서라도 적절한 보험에 가입하는 것이 좋다. 어떤 보험의 경우에든 굳이 비싼 상품을 가입할 필요가 없으며 적당한 선에서의 금액을 골라야 하며, 자신이 아플 때 가족 및 주변의 사람들에게 경제적인 피해가 가지 않을 정도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보험을 선택해야 한다. 4) 자기관리에 투자하라 : 신체적인 건강뿐 아니라 정신적인 건강도 챙겨야 한다. 스트레스가 낮거나 없고 재정적으로 안정적일 때. 그러니까 모든 수준에서 나 자신을 돌볼 여유가 있을 때 인간은 더 건강하고 부유해지고 행복해진다. 물론 이는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지만 못할 일도 아니라는 것을 명심하자.
40대 재무설계
1) 은퇴 계획에 적극적으로 나설 때 : 30대부터 은퇴를 위해 투자하라고 했지만 40대에 돌아보니 딱히 제대로 된 투자를 한 것 같지 않을 때가 있을 것이다. 40대에는 우리의 소득이 거의 정점에 달했을 가능성이 높다. 20,30대에 저축을 많이 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더 높은 소득을 활용 은퇴를 위한 투자를 극대화 시키고 싶을 것이다. 40대의 시간동안에는 은퇴를 위해 그리고 노후대책을 위해 더 적극적으로 투자를 해 나가길 바란다. 2) 보험 재구성 하기 : 보험은 없어서는 안될 정도로 매우 중요하다. 특히 사업을 시작하거나 추가적인 부동산을 구매하기로 결정한 경우의 사람들이라면 보험의 보장 내용 및 보험 적용 범위를 다시금 확인하고 불필요한 것이 있거나 불이익을 당하고 있다고 판단된다면 보험사에 연락해 그 답을 들어보아야 할 것이다. 3) 자녀를 위한 대학등록금 저축 : 당신의 자녀가 나이를 먹고 성인이 되기 위한 여정을 준비중이라면 아마 당신의 목표는 자녀의 대학 등록금을 내 주는 것일 것이다. 요즘은 아이가 태어날때 부터 아이의 이름으로 된 통장을 만들어 매달 일정 금액을 적금하고 20살이 되는 해에 그 통장을 선물로 주는 경우가 많다. 은행 및 보험에도 이런 '선물'을 하는 상품들이 많이 있으니 잘 찾아보길 바란다.
from http://myriches.tistory.com/16 by ccl(A) rewrite - 2021-09-29 00:27:33